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s of the beginning and ending dates of snowfall, and snowfall days in Qinghai Province during 1962 to 20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Xiao-fan,ZHANG, Ming-jun,WANG, Sheng-jie,LI, Xiao-shou,DONG, Lei,REN, Zheng-gu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1962~2012년 중국 칭하이성(Qinghai) 27개 기상 기지의 일별 강설(snowfall)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그리고 거리 가중 보간법(distance-weighted interpolation, IDW), Mann-Kendall 검사 등 방법을 이용하여 강설 시작일(the beginning date)과 종료일(the ending date) 및 강설 일수(snowfall days)의 시공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칭하이성의 강설 시작일은 주로 9월, 10월, 11월에 집중되었고, 종료일은 4월과 5월에 집중되었으며, 싼장위안 지역(Three-River headwaters region)은 중국 칭하이성에서 강설 시작일이 제일 빠른 지역이었고, 차이다무 분지(Qaidam Basin)는 강설 시작일이 제일 늦은 지역이었으며, 또한 대부분 지역의 강설 시작일은 점차적으로 늦어지는 추세이고, 강설 종료일은 앞당겨지는 추세였다. 3월, 4월과 10월의 강설 일수는 비교적 많았고[적은 눈(light snow)과 중등 정도 눈(middle snow)], 또한 강설 일수는 서로 다른 속도(1~3일/10년)로 감소되었으며, 강설 시작일, 강설 종료일 및 강설 일수는 비교적 뚜렷하게 갑자기 변화되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위도(latitude), 해발(altitude) 및 연평균 기온은 강설 시작일과 종료일 및 강설 일수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고, 월별 강설 시작일과 종료일은 일평균 기온, 최고 기온 및 최저 기온과 관련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이 오는 계절의 길이와 강설 일수는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나타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8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Qinghai,snowfall,the beginning date,the ending date,snowfall days,칭하이,강설,시작일,종료일,강설 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