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water depth on the growth of Vallisneria natans and photosynthetic systemⅡ pho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Xin,ZHANG, Qi-chao,SUN, Shu-yun,CHEN, Kai-n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식물 효율 분석기(Plant efficiency analyzer)를 이용하여 0.6, 1.3, 2.0m 수심에 나사말(Vallisneria natans) 잎사귀의 빠른 형광 유도 역학 곡선(fast fluorescence induction kinetics)(OJIP 곡선)을 측정하고 JIP-test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였으며 수심이 나사말의 생장과 잎사귀 광합성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속에서의 빛세기(light intensity)는 명확히 약해졌으며 나사말의 바이오매스, 라메트(ramet) 수량, 잎사귀 수량, 근계 총 길이, 근계 표면적 등 형태 지수는 명확히 낮아졌다. 그러나 최대 엽장(Maximum leaf length), 평균 엽장, 최대 엽폭은 명확한 변화가 없었으며 2.0m 수심에서 나사말에 생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단위 반응 센터 당 흡수 플럭스(ABS/RC), 포획 플럭스(TR 0 /RC), 전자전달 플럭스(ET 0 /RC) 및 전자 전달 말단에 전달하는 양자 효율(Quantum efficiency)(RE 0 /RC)은 명확히 낮아지고 단위 반응 센터에서의 소산 양자 효율(DI 0 /RC)도 명확히 낮아졌다. 이로 인해 3가지 수심의 단위 반응 센터에서 흡수되어 전자 체인(Electronic chain) 말단에 전달하는 효율(φ R0 )과 전자 전달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전자 체인 말단에 전달하는 효율(δ R0 )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수심 경사도가 단위 반응 센터에서의 광합성 효율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단위 면적 당 반응 중심 수량(reaction center numbers per unit area, RC/CS 0 )은 분명하게 증가하고 빛을 받는 면적이 같을 때 2.0 m 수심에서의 잎사귀 광합성 작용은 0.6 m 수심에 비해 더 강하였다. 특성 파라미터 PI abs , PI cs 와 PI abs,total 가 명확히 높아졌는데 낮은 광 스트레스는 광 에너지가 활발한 화학적 에너지로 전환되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나사말 잎사귀는 단위 반응 센터의 광 에너지 이용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활성화되지 않은 반응중심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빛 강도가 낮은 환경에서 적응하며 1.3m 수심은 나사말의 생장에 비교적 적합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0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Vallisneria natans,water depth,chlorophyll fluorescence,photosynthetic systemⅡ,JIP-test,나사말,수심,엽록소 형광,광합성계Ⅱ,JIP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