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siological Response of Four Azalea Species to Water with Different pH Valu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ISSN 1000-4025,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an, Xiaolin,Chen, Rui,Qin, Fan,Wan, Bin,Pan, Yuanzh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4가지 철쭉 품종(species of azalea)을 재료로 하여 pH 4.5, 5.5, 6.5, 7.5(CK), 8.5인 관개수(irrigation water)가 그 철쭉의 성장 발육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철쭉의 품종이 서로 다른 산, 염기 관개수를 주었을때의 성장 정황을 분석하고 철쭉의 품종을 널리 알리는 데 핵심적 유전자원을 제공하며 재배하고 관리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주었다. 그 결과, (1) 4가지 철쭉 품종의 엽록소 함량, SOD, CAT 활성과 햇가지(new shoot) 성장률은 전체적으로 관개수 pH 값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상대적 전도도율(conductivity) 변화는 이와 반대였다. (2) pH 5.5로 처리하였을 때, lsquo;더궈펀쥐안(Deguofenjuan rsquo;, lsquo;푸거얼 (fuge rsquo;er) 1호 rsquo;와 lsquo;뤼서광후이(lvseguanghui) rsquo;의 엽록소 함량이 가장 많고 lsquo;더궈펀쥐안 rsquo;, lsquo;춘즈우(Chunzhiwu)와 lsquo;뤼서광후이 rsquo;의 CAT 활성이 가장 강하였으며 4가지 품종의 SOD 활성과 햇가지 성장률이 최대였고 상대적 전도율이 최소였다. pH 4.5로 처리하였을 때, ldquo;춘즈우 rsquo;의 엽록소 함량이 가장 많았고 lsquo;푸거얼 1호 rsquo;의 CAT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 그리고 pH 8.5로 처리하였을 때, 4가지 철쭉의 상대적 전도율은 모두 최대였으나 기타 나머지 지표는 모두 최소였다. (3) pH 4.5~5.5일 때의 관개수는 pH값이 5.0정도인 기질을 철쭉이 자라는 최적의 pH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pH 5.0정도) 이로부터 서남 지역에서는 pH 4.5~5.5되는 관개수로 철쭉을 재배할 때 성장이 우수하며 lsquo;뤼서광후이 rsquo;는 처리를 거치지 않은 pH 7.5의 관개수로 재배할 때 우수한 자원 및 육종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3575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zalea,species,pH,irrigation water,철쭉,품종,pH값,관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