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몇가지 원예작물(園藝作物)에 미치는 아황산(亞黃酸)가스의 피해(被害)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農業技術硏究報告 = Research reports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SSN ,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재창,구자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1-01-01
초록 $SO_2$ 가 몇가지 원예작물(園藝作物)에 미치는 피해(被害)를 내생(內生) ethylene발생(發生), 광합성(光合成), 호흡(呼吸), 엽중류황함량(葉中硫黃含量)등과 관련(關聯)하여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AgNO_3$ , daminozide, benomyl등의 처리(處理)에 의(依)한 피해경감효과를 측정(測定)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수종(樹種)에 따라서 $SO_2$ 의 피해(被害)로 인(因)하여 내생(內生) ethylene의 발생율(發生率)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5ppm처리(處理)는 2.5ppm처리(處理)에 비(比)하여 ethylene의 최대(最大)발생량(發生量)이 많았고 그 발생시간(發生時間)도 더 빨랐다. 2. $AgNO_3$ 용액(溶液)의 살포(撒布)는 개나리와 개잎갈나무에서 $SO_2$ 피해(被害)로 일어나는 내생(內生)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을 현저(顯著)히 저하(低下)시켰으며 개나리의 낙엽율(落葉率)을 크게 감소(減少)시켰다. 3. 개나리는 $SO_2$ 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광합성(光合成)이 일단 감소(減少)된 후(後)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서 큰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으나 해바라기는 5ppm 처리(處理)에 의(依)하여 4시간후(時間後)부터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였고 2.5ppm에서는 처리기간(處理期間)동안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4. 호흡량(呼吸量)은 수종(樹種)이나 $SO_2$ 의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서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많은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daminozide과 benomyl살포(撒布)는 개잎갈나무와 개나리에서 호흡량(呼吸量)의 증감(增減)을 다소(多少) 억제(抑制)시켰으나, $AgNO_3$ 를 개잎갈나무에 살포(撒布)한 경우는 별다른 효과(效果)를 찾아볼 수 없었다. 5. $SO_2$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 5ppm구(區)는 2.5ppm구(區)에 비(比)하여 엽중류황함량(葉中硫黃含量)보다도 월등히 낮은 농도(濃度)에서 피해반점(被害斑点)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1199592627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