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Bioinformation Analysis of PLA Gene Family in Lycium barbarum 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植物硏究 = Bulletin of botanical research
ISSN 1673-510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Hua-feng,CHEN, A-li,SHANG, Jie,ZHANG, Feng-ji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분해효소(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EC 4.3.1.5)는 주요한 조절 효소이며, 식물 체내에서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의 촉매 작용으로 신남산(cinnamic acid)을 생성하여 1차와 2차대사를 연계한다. 본 논문은 닝샤(Ningxia) 구기자(Lycium barbarum L.)를 재료로 하고, 서열 상동성 원리를 이용하여 축퇴 프라이머(degenerate primer)를 설계하였으며 RT-PCR 기술로 4개 PAL 유전자 조각을 얻었고 그에 대해 생물정보학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패밀리의 cDNA 조각 길이는 1,162~1,183 bp이며, 554~561개 아미노산을 코딩할 수 있고, 단백질 분자량은 60.681~61.250 kD, 등전점은 7.02~7.71이다. 구기자 PLA 유전자 패밀리간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도는 0.005%~0.336%이다. 아미노산 서열과 구조 분석 결과, PAL 유전자 패밀리에 하나의 보존 영역, 즉 차폐 도메인 및 하나의 활성 사이트-페닐알라닌/히스티딘암모니아리에이즈(histidine ammonia-lyase) 사이트가 있다. LyPAL1~3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에, LyPAL4 단백질은 세포질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2차구조와 3차구조에 대해 예측한 결과, LyPAL1 단백질 중에 179개 불규칙 코일(random coil), 306개의 α나선과 30개의 β 병풍구조, 46개의 확대 사슬(Extended chain)이 있었다. 계통진화분석 결과, 구기자 LyPAL1~3 유전자는 고추의 PAL 유전자와 매우 높은 상동성을 갖고 있으며, 구기자 LyPAL4 유전자는 피튜니아(Petunia)의 3가지 식물(Petunia axillaris, Petunia x hybrid, P. exserta)과 매우 높은 상동성을 갖고 있었다. 이 4개 유전자는 GenBank에 등록되었으며 유전자 서열 등록번호는 KC759153~KC759156이다. 4개 LyPAL 유전자의 클로닝은 닝샤 구기자의 플라보노이드 등 2차대사물질의 합성 분자 메커니즘을 심층 연구하는데 있어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5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ycium barbarum L.,PLA gene,cloning,bioinformation analysis,구기자,PLA 유전자,클로닝,생물정보학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