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ime niche of rice planthopper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paddy fields by the yellow board trap sampling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
ISSN | 1674-0858, |
ISBN |
저자(한글) | CHEN, Hong-fan,HUANG, Jian-hua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서로 다른 논밭 생태 계통의 제어 능력 간 차이 메커니즘을 탐색하기 위해, 연속 2년 동안 황색점착트랩(the yellow board trap sampling)을 사용하여 유기재배 논(organic paddy field)과 화학적 방제 논(chemical control paddy field)의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갈색벼멸구(Nilaparvata lugens)및 해당 주요한 천적 개체군 간의 일시적인 생태적 지위 폭(niche breath)과 생태적 지위 중복(niche overlap)의 변화 규칙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황색점착트랩으로 샘플을 추출했을 때, 유기재배 논 가운데서 벼멸구와 주요한 천적 개체군 간 생태적 중복은 그 평균값(0.5492)이 화학적 방제 논(0.3777)에서보다 컸으며, 유기재배 논의 주요한 천적 개체군 간 생태적 지위 폭은 그 평균값(0.4967)이 화학적 방제 논(0.4118)에서보다 컸다; 2011년 황색점착트랩으로 샘플을 추출했을 때, 유기재배 논의 벼멸구와 주요한 천적 개체군 간 생태적 중복은 그 평균값(0.5919)이 화학적 방제 논(0.4252)에서보다 컸으며, 유기재배 논의 주요한 천적 개체군 간의 일시적인 생태적 지위 폭은 그 평균값(0.5022)이 화학적 방제 논(0.4090)에서보다 컸다. 이 결론에서 우리는 유기재배 논의 생태계통을 화학적 방제 논의 생태계통과 비교했을 때, 시간 생태적 지위의 측면으로부터 보면 벼멸구와 천적 개체군 간의 일시적인 생태적 지위 폭 및 해당 천적과 벼멸구 간 생태적 지위의 중복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하여, 논밭 절지동물의 개체군 시스템이 갖고 있는 자아 제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2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organic paddy field,chemical control paddy field,the yellow board trap sampling,rice planthoppers,natural enemies,temporal niche,유기재배 논,화학적 방제 논,황색점착트랩,벼멸구,천적,시간 생태적 지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