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and Secondary Structure Modeling of the 3'-Noncoding Regions of Two Korean Strains of Turnip Mosaic Vir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ISSN 0256-860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ang Kyung Choi,Ki Hyun Ryu,Gug Seoun Choi,Won Mok Park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5-01-01
초록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TuMV)의 한국계통인 TuMV-Ca와 TuMV-cqs 게놈 RNA의 3' 말단을 포함하는 cDNA를 사용하여 이들의 3' 비번역부위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두 계통 모두 3' 비번역부위는 209개의 염기로 되어 있었으며, 3' 말단은 GAC와 poly A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Poly A tail의 signal motif로 추정되는 UAUGU는 두 한국계통과 지금까지 보고된 4종의 외국계통 등 모든 TuMV에서 3' 말단으로부터 140번째 염기에 위치하였다. 또한 potyvirus내의 3' 비번역부위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6개의 염기로 구성된 [AGUGA/UG/C]가 TuMV에서는 3' 말단으로부터 119번째 위치에 AGUGUG로 존재하였다. TuMV 계통간 3' 비번역부위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한국계통은 네개의 다른 계통인 카나다, 중국 및 일본 계통에 대해 94.3~99.5%의 매우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이들 TuMV 3' 비번역부위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2차 구조를 분석한 결과 3개의 긴 stem-loop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TuMV 6 계통간의 변화된 염기들은 이들 2차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TuMV의 3' 비번역부위를 다른 11종의 potyvirus들과 비교한 결과, 이 부분의 길이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간의 염기서열 상동성은 55.7~24.0%였다. 따라서 3' 비번역부위는 potyvirus그룹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에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129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urnip mosaic virus,two Korean isolates(Ca, cqs),potyvirus,nucleotide sequence analyssi,3 quot,noncoding region(3 quot,-NCR),secondary structure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