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말고기의 육질 등급에 따른 부위별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성분 비교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ISSN 1598-9429,2093-62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진형,선창완,황도연,권기문,이재청,김효선,김용준,이상근,류연철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연구는 말고기 등급(1등급과 2등급)에 따른 품질을 비교하여 향후 부위별 및 등급별 구분 판매시 등급간 육질 특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이화학적, 관능적, 지방산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등심에 대한 일반성분분석 결과에서는 1등급이 2등급에 비해 높은(p $kg/cm^2$ )으로 2등급 10.86 ( $kg/cm^2$ )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 0.05), 육색에 대한 육질등급별 부위간 비교에서는 $L^*$ 값, $a^*$ 값 및 $b^*$ 값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등급의 경우 등심, 목심, 넓적다리의 $L^*$ , $a^*$ 및 $b^*$ 값은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5), oleic acid (C18:1)는 등급간에 유의적 차이(p 0.05).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된 말고기의 육질 1등급과 2등급에서는 조지방 함량, 전단력, palmitoleic acid (C16:1)와 stearic acid (C18:0)는 등급별 육질을 판별할 수 있는 요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위 및 등급에 따른 차별화를 위해서는 40개월 이상의 장기간 사육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3239658104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orse meat,Meat Quality,Grade,Carcass traits,Fatty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