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佛國寺 石造文化財 風化ㆍ毁損 特性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新羅 文化
ISSN 1229-09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鄭鍾鉉,丁珉鎬,孫丙鉉,李根直,徐廷昊,金鉉奎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Si, Mg, Ca, Na, K, Fe, Mn, Al 등으로 構成되어 있고, 이들 성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Ca 성분은 黃酸을 함유한 산성우와 접촉하게 되면 화학반응에 의해 CaSO₃ㆍ2H₂O(s)와 CaSO₄(s) 등을 생성하여 풍화를 유발한다. 多寶塔과 佛國寺 三層石搭의 화학분석 결과, 실리카(SiO₂) 71.38~78.11 wt.%, 알루미나(Al₂O₃) 11.85~14.27 wt.%, Na₂O 3.51~4.59 wt.%, K₂O의 함량은 3.28~4.72 wt.%로서 경주 남산지역 화강암 시료의 分析結果와 유사하였다. 慶州, 浦項 및 蔚山地域 공단에서 발생된 大氣汚染物質, 黃砂와 海鹽 등으로 佛國寺 三層石搭 및 多寶塔의 풍화작용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태풍, 강한 바람 및 기온변화에 의한 동결ㆍ융해 등의 氣象要因에 의하여 더욱 더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生物學的 풍화 특성을 조사한 결과, 석조물의 표면에 몇 종류의 곰팡이들이 이끼류 등과 공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부 조류를 포함하는 地衣類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佛國寺 三層石搭과 多寶塔에 생성된 먼지 및 검은 클러스터 등은 난방연료 배출가스와 버스 및 자동차 배기가스가 훼손 원인중의 하나 인 것으로 사료되며, 자동차 배출가스와 난방연료의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具體的으로 수행되어야 할 시점이다. 佛國寺 石造文化財의 風化等級을 조사한 결과, 佛國寺 多寶塔의 풍화도는 5등급, 佛國寺 三層石搭의 풍화도는 4등급으로 조사되어, 文化財廳 및 環境部와 慶州市는 石造文化財 보존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프로그램과 관리대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872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불국사(佛國寺, Bulguksa),풍화(風化, Weathering),훼손(毁損, Deterioration),다보탑(多寶塔, Dabotap),불국사 삼층석탑(佛國寺 三層石搭, Three storied stone pagoda at Bulguksa),석조문화재(石造文化財, Stone cultural property),경주(慶州, Gyeong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