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ion of otolith microstructures in small yellow croaker larvae and juveniles from Sanmen Bay and Lvsi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
ISSN | 1004-2490, |
ISBN |
저자(한글) | LI, Yu-xuan,TANG, Jian-hua,XU, Xian-ming,XU, Jin,LIU, Zhi-yuan,XU, Hao,CHENG, Jia-hua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싼먼만(Samen Bay)과 뤼쓰(Lvsi) 근해의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자치어의 화살 모양 이석(otolith) 미세 구조 특징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참조기 자치어의 무늬는 매일 형성되는것인데 첫번째 과정은 부화 후 둘째날에 형성되며 유어기에서 치어기로 과도 하면서 2차핵(secondary primordium)이 형성되었다. 싼먼만과 뤼쓰 근해 해역 개체는 성장, 발육과 2차핵 사이에서 현저한 일치성을 나타냈는데 성장이 비교적 빠른 개체는 1차핵 형성 시간도 비교적 빨랐고 2차핵 수량도 많았다. 두 해역 참조기의 이석 미세 구조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뤼쓰 근해 개체는 유어기 이석 성장률이 더욱 빨랐고(평균치는 0.039) 1차핵 형성 시간은 비교적 짧았으며(평균치는 37일) 2차핵 수량은 비교적 많았는데(7~8) 이는 뤼쓰 근해 개체는 비교적 빠른 성장율과 발육 속도를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며 이러한 차이는 뤼쓰 근해의 개체가 유어기에 경력한 해수 온도가 비교적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살 모양 이석의 미세 구조 특징은 야생 참조기의 조기 성상 발육 상황을 반영할 수 있고 해역에 따라 참조기 치어의 화살 모양 이석 미세 구조 특징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상이한 해역에서 서식하는 참조기 개체를 구분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데 이는 참조기 조기 자원 보충과정과 조기 선택성 사망 등 연구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6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Larimichthys polyactis,otolith,daily increment,secondary primordium,growth rate during larval stage,참조기,이석,일간 증가,2차핵,성장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