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able isotope analysis on the feeding character of representative fishes during spring in central and northern East China Sea and south Yellow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ISSN 1004-24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 Wei-wei,JIANG, Ya-zhou,RUAN, Wen,CHEN, Xue-zhong,ZHANG, Ming-liang,LI, Sheng-fa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10년 봄철 동중국해 중북부와 황해 남부의 저인망(bottom trawl) 어업 자원 조사 샘플에 근거하고 안정 동위 원소(stable isotope)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해역내 주요 어류의 영양 생태학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해역내 주요 어류의 delta; 13 C 비율은 뚜렷한 공간적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조사한 어류의 주요 섭식 유형은 저층생물에 기울며 부유 생물 식성 유형은 비교적 적었는데 해역에서 어류의 식성 유형에는 일정한 공간적 차이가 있었다. 먹이 원천 기여도 분석 결과, 2010년 봄철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미끼 생물 구성에서 두족류와 꼬마반원니꼴뚜기(Loligo kobiensis)가 우세 먹이 원천 기여자로써 56.1%를 차지하였고 펄대롱수염새우(Solenocera koelbeli)와 같은 갑각류도 중요한 먹이 원천으로써 28.3%를 차지하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어류 식성 분석에 있어 안정 동위 원소 방법을 응용할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해양 어류의 영양 생태적 동역학 연구에 일정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able isotope,East China Sea,south Yellow Sea,marine fishes,feeding character,small yellow croaker,안정 동위 원소,동중국해,황해 남부,해양 어류,식성,참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