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Lian-wei,CHEN, Xin-jun,XU, Qiang-hua,LU, Hua-jie,WANG, Cong-jun |
초록 |
페루 해역 아메리카 대왕오징어(Dosidicus gigas)는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성 성숙(sexual maturity)과 맨틀 길이(mantle length)가 서로다른 집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해역 아메리카 대왕오징어 자원의 더 나은 개발 및 관리를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mtDNA)와 미소부수체 DNA(SSR) 두 가지 분자 마커를 이용하여 페루 외해 아메리카 대왕오징어 대형 집단(large-sized group)과 소형 집단(small-sized group)의 유전 변이(genetic variation)에 대해 연구하였다. Cyt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얻은 두 집단의 단상형 총수, 단상형 다양성 지수, 뉴클레오티드(nucleotide) 다양성 지수 및 평균 뉴클레오티드 차이 수는 각각 19, 0.758±0.052, 0.00219±0.00146과 1.586이다. COI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얻은 두 집단의 단상형 총수, 단상형 다양성 지수, 뉴클레오티드 다양성 지수 및 평균 뉴클레오티드 차이 수는 각각 18, 0.707±0.055, 0.00170±0.00126과 1.057이다. 두 집단은 비교적 높은 단상형 다양성 지수와 비교적 낮은 뉴클레오티드 다양성 지수를 갖고 있다. 선별을 거친 12개의 SSR 위치는 모두 높은 다형성 위치(PIC =0.725~0.933)이며 위치 DG02, DG07, DG09, DG28, DG36은 하디-바인베르크(Hardy-Weinberg) 평형(P SSR 마커를 기반으로 하여 얻은 대형 집단의 관측 이형접합도는 0.176, 기대 이형접합도는 0.868이고 소형 집단의 관측 이형접합도는 0.721, 기대 이형접합도는 0.883이며 두 집단 모두 비교적 높은 유전 다양성을 갖고 있다. MtDNA 마커를 기반으로 단상형 네트워크 관계도 및 두 집단 사이 유전 분화계수 Fst 분석한 결과, 두 집단에는 뚜렷한 유전적 분화(Cytb:Fst=0.00452, P gt;0.05; COI:Fst=0.00089, P gt;0.05)가 존재하지 않았다. SSR 마커를 기반으로 같은 결론(Fst=0.00251, P gt;0.05)을 얻을 수 있다. 두 집단은 산란회유과정에서 유전자 교류를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페루 외해 아메리카 대왕오징어 대형 집단과 소형 집단을 하나의 관리 단원으로 볼 것을 건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