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Cytochrome P-450 (P-450) 유도물질인 phenobarbital (Pb)과 3-methylcholanthrene (3-MC)을 흰쥐 (S.D., male, 150-160 g)에 처리한 후 간 마이 크로좀의 P-450 유도에 따른 Aryl Hydrocarbon Hydroxylase (AHHase) 활성도와 혈 액중의 polyamines 분포 및 농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P-450-b 유도물질인 Pb 처리는 P-450 함량을 상당히 증가시키면서 대조구의 polyamines 분포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와는 달리 spermidine, spermine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총 polyamines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P-450-c 유도물질이며 강력한 발암물질인 3-MC 처리는 putrescine, spermidine의 분포로서 특히 putrescine은 대조구의 10배로, 그리고 총 polyamines 농도는 2배 증가되었으며 AHHase 활성도는 12배 이상 증가폭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putrescine 생합성에 관여하는 ornithine decarboxylase가 3-MC의 대사산물에 의해 그 활성이 촉진되어 비정상적으로 putrescine이 축적되며 polyamine oxidase가 spermine의 분해를 증가시킨 것으로 P-450-c의 유도에 따른 AHHase 활성도 증가와 polyamines의 생합성 또는 분해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