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ytochrome P-450 유도물질을 처리한 흰쥐 간의 마이크로좀 Aryl Hydrocarbon Hydroxylase 활성도와 혈액의 Polyamines 농도와의 관계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기현,이윤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5-01-01
초록 Cytochrome P-450 (P-450) 유도물질인 phenobarbital (Pb)과 3-methylcholanthrene (3-MC)을 흰쥐 (S.D., male, 150-160 g)에 처리한 후 간 마이 크로좀의 P-450 유도에 따른 Aryl Hydrocarbon Hydroxylase (AHHase) 활성도와 혈 액중의 polyamines 분포 및 농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P-450-b 유도물질인 Pb 처리는 P-450 함량을 상당히 증가시키면서 대조구의 polyamines 분포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와는 달리 spermidine, spermine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총 polyamines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P-450-c 유도물질이며 강력한 발암물질인 3-MC 처리는 putrescine, spermidine의 분포로서 특히 putrescine은 대조구의 10배로, 그리고 총 polyamines 농도는 2배 증가되었으며 AHHase 활성도는 12배 이상 증가폭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putrescine 생합성에 관여하는 ornithine decarboxylase가 3-MC의 대사산물에 의해 그 활성이 촉진되어 비정상적으로 putrescine이 축적되며 polyamine oxidase가 spermine의 분해를 증가시킨 것으로 P-450-c의 유도에 따른 AHHase 활성도 증가와 polyamines의 생합성 또는 분해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5347551915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