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mpact of Starvation and Feeding Experiments on Ammonium Excretion and Glutamate Dehydrogenase Activity of Zooplankt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6-01-01
초록 미국 동부 연안에서 채취된 해양 동물성 부유생물의 섭이변화 실험 결과, ${NH_4}^+$ 분비율이 섭이중지 5일 후부터 감소되었으며 섭이중지 기간동안 oxidative deamination protein specific glutamate dehydrogenase (GDH) 방향으로는 증가된 반면, 단백질 양은 감소되었다. GDH 활성도와 ${NH_4}^+$ 분비율과의 비율(GDH/excretion)은 정상조건에서 22.7에서 18.2의 범위를 보였으나, 섭이중지 4~5일 후에는 42.3에서 103.5까지 증가되었다. 이 사실은 GDH 활성도를 통한 해양 부유동물의 ${NH_4}^+$ 분비율의 간접정량이 실제 해양에서 여러 영양 조건에 따라 실제 ${NH_4}^+$ 분비율을 과소 또 과대산출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GDH의 glutamate에 대한 $K_m$ 은 섭이중지 후 일반적으로 증가를 보였다. 섭이중지 후 4일 후부터 6일간 섭이제공된 동물성 부유생물의 GDH의 활성도는 섭이중지 전의 정상 수치로 복귀되지는 않았다. 현재의 연구결과, 동물성 부유생물의 질소대사는 GDH를 통하여 여러 영양상태에 따라, allosterism과 체내 glutamate 농도의 변동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을 제시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6347551811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