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에서는 소재산업이 향후 한국의 상품수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점할 것이라는 예상 하에 동 산업의 품목군 중 수출비중과 고용파급효과가 크고 고부가가치 실현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품목군인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계시장에서 경쟁이 불가피 할 것으로 전망되고, 경제발전 단계와 속도를 감안해 볼 때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 수요가 급성장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력을 비교해 보고 중국과의 교역을 통한 한국산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 경쟁력도 동시에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식경제부와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부품 #x2024;소재 통계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고, 조사 대상 품목으로는 석유화학계 기초 유기화합물을 포함하여 12개 품목을 선정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상품의 국제경쟁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인 무역특화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산은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이 매우 강한 경쟁력을 확보고 있는 반면 사진용 화학제품 및 감광재료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의 경우, 농약이 아주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합성고무 및 플라스틱 물질 품목은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과의 교역 측면에서 볼 때 한국산은 도료 및 인쇄잉크 품목과 기타 기초 유기화합물에서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었고, 무기안료 등 품목과 사진용 화학제품 및 감광재료 품목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