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Yang,GU, Li-jun,ZHANG, Yu,LIU, Wen-jun,YAN, Jing-hua,GAO, George Fu,IWAMOTO, Aikichi,GOHDA, Jin,ISHIDA, Takaomi |
초록 |
[목적] 역전사 저항 바이러스 치료(ART, anti-retroviral therapy) 방법은 인류 면역결핍 바이러스(HIV-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1)의 복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2012년 말까지 세계적으로 아직도 3,500만 명 HIV-1 감염자가 있고 약 160만 명이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및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HIV-1 감염이 완치할 수 없는 주요한 원인은 생체 내부에 존재하는 HIV-1 잠복저장소(Reservoir)이다. HIV-1 잠복저장소는 주요하게 CD4 + T 세포와 단핵 대식세포(Monocyte-macrophage)로 구성되고 CD4 + T 세포와 비교할 때 현재 단핵 대식세포에서 HIV-1 바이러스에 대한 복제 메커니즘(Replication Mechanism)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적합한 연구 시스템이 결핍하다. 이에 따라 단핵 세포 활성화(activation) 혹은 분화 신호가 HIV-1 복제에 대한 영향을 탐구하기 위하여 HIV-1 프로바이러스(Provirus) 전사 조절(Transcriptional regulation) 메커니즘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인류 단핵 대식세포계 모델을 구축하였다. [방법] env 구역의 구조이동 돌연변이(frameshift mutation)와 nef 구역의 EGFP 혹은 NanoLuc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를 포함한 HIV-1 NLnGFP-Kp 혹은 NLnNanoLuc-Kp 재조합 바이러스를 구축하여 2가지 인류 단핵 세포계 THP-1 혹은 U937을 감염시켰다. 한계 희석법(Limiting dilution)을 통하여 단일 복제 세포계(Monoclonal Cell Line)를 제조하고 유동 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 혹은 NanoLuc 루시페라아제(Luciferase) 활성 분석을 이용하여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EGFP 혹은 NanoLuc 음성 발현의 세포 복제를 선별하고 PMA(Phorbol-12-myristate-13-acetate) 자극을 거쳐 잠복 감염(Latent infection)의 세포 복제를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4개 HIV-1 잠복 감염의 세포 복제를 검증하였다. 이 중 2개는 EGFP를 발현하는 THP-1의 복제이고 2개는 NanoLuc을 리포터 유전자로 하는 U937의 복제이다. 이러한 복제는 PMA 자극을 거친 후 모두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이 있지만, 정상 상태 조건에서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을 검측하지 못하였다. [결론] 4개 HIV-1 잠복 감염의 인류 단핵 세포계 복제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해당 모델은 단핵 대식세포계 세포의 HIV-1 바이러스 복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HIV-1 프로바이러스 전사 조절 메커니즘의 심층적인 연구에서 유력한 도구로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