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duction and Measurement System of Uniform Axial Hypomagnetic Field Based on C8051F005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測控技術 = Measurement control technology
ISSN 1000-882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AN, Xin-chong,JIANG, Yuan-da,CHEN, Zhen-zhen,WANG, Chao,DI, Guang-ji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하이퍼 마그네틱 필드(hypomagnetic field)의 생물학 실험(biology experiments) 요구에 근거하여 Silicon Labs의 C8051F005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축방향(axial) 하이퍼 마그네틱 필드의 생성 및 측정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헬름홀츠 코일(Helmholtz coil)이 자기장(magnetic field)을 생성하는 기본원리를 기반으로 신형의 자기장 생성 구조를 설계하였다. MAX038을 하드웨어 회로(hardware circuit)에 사용하여 교류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생성하고 자기 저항 센서(magnetoresistive sensor)를 사용하여 자기장에 대해 정밀 측정을 진행하며, VC6.0으로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자기 저항 센서에서 받은 데이터에 대해 그래픽(graphic)으로 표시하였다. 실제 테스트 결과, 신형 구조가 생성한 자기장의 균일성(uniformity)은 헬름홀츠 코일이 생성한 자기장의 균일성보다 좋고 자기장 균일성 범위가 넓다. 하이퍼 마그네틱 필드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선형 변화(linear variation)를 나타내고 좋은 제어 가능성(controllability)을 가지고 있으며, 간단한 설정을 통하여 교류 자기장의 주파수(frequency)를 제어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2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8051F005,MAX038,hypomagnetic field,magnetoresistive sensor,Helmholtz coil,C8051F005,MAX038,하이퍼마그네틱 필드,자기 저항 센서,헬름홀츠 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