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식이 지방산 성분이 생체막 지질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험동물에게 고등어유, 대두유, 들깨유 및 고등어유+대두유(3 : 1)의 배합유를 식이중에 각 10%로 한 먹이를 24일간 섭취하게 한후 심장조직 미로콘드리아 내막의 지질구성에 미치는 변화를 조사하고 또 이런 구조의 변화가 생체막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계 기능을 측정 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내막 인지질 구성은 고등어유군이 타군에 비해 phosphatidylcholine이 훨씬 높고 따라서 phosphatidylethanolamine은 낮았다. Cardiolipin도 고등어유군은 대두유군, 들깨유군보다 높았고 고둥어유와 대두유의 배합군도 고둥어유 단일군보다는 낮았으나 역시 식물유 단일군 보다는 높았다. 인지질 구성지방산의 조사결과, 고등어유군에서는 monounsaturated fatty acids 및 $C_{20-22}$ 의 ${ omega}3$ 지방산의 함량이, 대두유군에서는 $C_{18:2}$ ( ${ omega}6$ )와 $C_{20:4}$ ( ${ omega}6$ ) 지방산의 함량이 타군들에 비해 각각 높았으나, 들깨유군에서는 $C_{18:3}$ ( ${ omega}3$ ) 및 총 ${ omega}3$ 지방산함량이 별로 높지 않았다. 들깨유군의 결과는, $C_{18:3}$ ( ${ omega}3$ ) 지방산의 elongation을 통해 $C_{20-22}$ 의 ( $ omega3$ ) 지방산생성이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지질구성변화에도 불구하고, 식이지방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state 3와 state 4 respiration율, P/O비, respiration control ratio, 그리고 ATP 합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