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ies on Anti-aging Ac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I). Comparative Study of Garlic and Ginseng Components on Anti-aging Ac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oi, Jin-Ho,Byun, Dae-Seok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6-01-01
초록 강장 강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구전되고 있는 마늘과 인삼성분의 생체노화억제 작용을 Harman의 유리가설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마늘의 유효성분인 alliin (S-allyl-L-cysteine sulfoxide)과 ethanol 획분, 그리고 인삼의 중요 약러성분인 사포닌의 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조사 비교하였다. 이들 성분들의 항산화활성, 유도기간 및 과산화지질생성억제효과는 각각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POV (peroxide value) 및 TBA value로써 비교하였고, 과산화지질생성억제 및 분해작용과 관계가 있는 효소활성은 SOD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 activity 로써 비교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SD rat (male, 200 g) 11마리씩을 1군으로 하여 마늘 및 인삼성분을 매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p.o.)하여 in vitro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생체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비교하였다. in vitro에서 마늘의 ethanol 분획과 인삼사포닌은 EDA활성 및 과산화지질 생성초기의 유도기간 등에 의한 항산화활성이 거의 비슷했고, 경시적으로 측정한 TBA value는 초기단계에서는 마늘성분들이 인삼사포닌보다 효과적이였으나 6시간 이후에는 인삼사포닌이 마늘성분들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마늘은 속효성인데 반해 안상은 지효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in vivo에서 TBA value는 혈액과 뇌에서는 인삼사포닌이, 또 간장에서는 마늘의 alliin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OD 및 peroxidase의 활성을 비교하여 보면 간장에서는 마늘성분이 인삼사포닌보다 효과적인 반면 뇌에서는 인삼사포닌이 마늘성분들보다 효과적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63475518089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