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생쥐 간의 Triacylglycerol 생합성에 있어서 Palmitoylcarnitine의 지방산 공여체로서의 역할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윤경,정진성,조기승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6-01-01
초록 $^{14}C$ -Palmitoylcarnitine을 생쥐 간 균질물과 반응시킨 결과 1시간 후 33%, 3시간 후에 51%, 6시간 후에 최고 61%의 가수분해를 나타냄으로서, 동물체의 간이 acylcarnitine의 중요한 대사부위 임을 나타내 주었다. $^{14}C$ -Palmitoylcarnitine ( $^{14}C$ -pal. carn)에 의한 $^{14}C$ -triacylglycerol ( $^{14}C$ -TG)의 생합성은 0.1 M tris-HCl buffer, pH 7.4 및 반응온도 $20^{ circ}C$ 에서 각각 최고의 합성율을 나타냈고, ATP, coenzyme A (CoASH), $Ca^{2+}$ 및 $Mg^{2+}$ 의 cofactor 등은 triacylglycerol 생 합성계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이들은 phospholipid 생성계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조건하에서 (U- $^{14}C$ )-palmitic acid에 의한 중성지 질의 생합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반응온도는 $20^{ circ}C$ 가 적정온도였고, 이 반응계는 ATP, CoASH 및 $Mg^{2+}$ 의 cofactor를 필요로 했는데 반응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30분 반응에서는 cofactor 존재하에서 $^{14}C$ -TG 생성이 증가를 보였으나, 3시간 반응에서는 cofactor가 존재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14}C$ -phospholipids 생성이 증가함을 나타냈다. 간 균질물의 여러 분획에 있어서 $^{14}C$ -pal. carn에 의한 $^{14}C$ -TG의 생성을 비교해 본 결과, microsomal cytosol 분획에서 가장 높은 triacylglycerol와 diacylglycerol의 생성율을 보였고, 다음이 mitochondria 분획, nuclei와 cell debris 분획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almitoylcarnitine은 microsome에서 cofactor의 도움 없이 직접 acyl group을 이전시켜 중성지질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6347551811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