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corbic Acid가 Guinea Pig에서 혈장 지질과산화값, Prostaglandin 생합성, 광용혈, Superoxide Dismutase 및 Catal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한국생화학회지 |
ISSN | 0368-4881, |
ISBN |
저자(한글) | 이정원,이태녕,모수미,이진호,이대형,박수남,이보경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1987-01-01 |
초록 | L-Ascorbic acid(AsA)를 결핍, 석정, 과잉(적정의 40배)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guinea pig(평균체중 428g, male)에게 5주동안 경구 투여했을때, 적정 및 과잉으로 공급된 AsA는 AsA 결핍군에서 나타난 혈장 및 간조직의 매우 상승된 지질과산화값(TBA값)을 저하시켰으며 이 효과는 과잉공급시 더욱 컸다. 이는 AsA가 항산화작용을 통해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과량군의 혈장 TBA값은 적정군의 혈장 TBA값 수준에 머물렀는데 이는 과잉의 AsA가 동시에 혈장 TBA값에 포함되어지는 prostaglandin (PG) endoperoxide의 생합성을 촉진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 활성은 AsA결핍시 특히 적혈구에서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과잉 공급인 경우엔 별 변화가 없었다. 동물 개개의 SOD활성도는 간조직에서는 TBA값과 (r = .324) 적혈구에서는 용혈수준과 (r = .323) 상관관계 (p $^1O_2$ 에 의한 광용혈을 적정량 공급군에 비해 촉진시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 광용혈 촉진의 생화학적 의의는 PG endoperoxide 생합성 활성화의 결과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PG endoperoxides 촉진문제와 더불어 앞으로 검토해야 될 문제로 사료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73475518167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