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지방산 조성과 Butylated Hydroxytoluene이 2-acetylaminofluorene을 투여한 쥐간의 지질 과산화물 방어 효소체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현아,김현덕,최혜미,이주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0-01-01
초록 이유된 Sprague Dawley종 숫쥐를 8주간 0.3%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을 넣거나 넣지 않는 soybean oil과 beef tallow를 15% 수준으로 먹이고 9주째 2-acetylaminofluorene(AAF)을 복강으로 주사한 뒤 간 microsome과 cytosol 분획에서 지질 과산화물 함량,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GSH) peroxidase, glutathione(GSH) S-trasferase 활성도와 cytochrome P-450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AAF가 지질 과산화물 함량과 SOD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두 식이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SH peroxidase 활성과 cytochrome P-450 함량은 체중 kg당 25mg의 AAF를 투여시 두 식이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체중 kg당 100mg의 AAF를 투여시 GSH peroxidase 활성도는 soybean oil군에서는 감소하였고 beef tallow군에서는 증가하였다. GSH S-transferase의 활성도는 두 식이군에서 모두 AAF의 투여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식이지방과 BHT는 효소 활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불포화지방 식이와 AAF의 투여가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를 증가시킬 것이나 지질 과산화물에 의해 cytosol의 GSH peroxidase와 GSH S-transferase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효과적으로 대사 시켰음을 시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0347551824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