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이유된 Sprague Dawley종 숫쥐를 8주간 0.3%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을 넣거나 넣지 않는 soybean oil과 beef tallow를 15% 수준으로 먹이고 9주째 2-acetylaminofluorene(AAF)을 복강으로 주사한 뒤 간 microsome과 cytosol 분획에서 지질 과산화물 함량,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GSH) peroxidase, glutathione(GSH) S-trasferase 활성도와 cytochrome P-450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AAF가 지질 과산화물 함량과 SOD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두 식이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SH peroxidase 활성과 cytochrome P-450 함량은 체중 kg당 25mg의 AAF를 투여시 두 식이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체중 kg당 100mg의 AAF를 투여시 GSH peroxidase 활성도는 soybean oil군에서는 감소하였고 beef tallow군에서는 증가하였다. GSH S-transferase의 활성도는 두 식이군에서 모두 AAF의 투여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식이지방과 BHT는 효소 활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불포화지방 식이와 AAF의 투여가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를 증가시킬 것이나 지질 과산화물에 의해 cytosol의 GSH peroxidase와 GSH S-transferase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지질 과산화물을 효과적으로 대사 시켰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