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versity of cultured and uncultured bacteria in surface layer sediment from the East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 Jianyu,Liu, Xuezhu,Zhao, Rongtao,Wu, Fangwei,Wang, Jianx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2011년 7월, 중국 저장성 저우산(zhouwu mountain)(연안의 해저 침적물 샘플(122°10 prime;41 Prime;E, 29°49 prime;7 Prime;N)을 수집하였다. 파묻힌 조각(buried piece)의 원위치 관찰, 형광 현미계수(fluorescence enumeration), 순수배양 균분리 및 난배양성 세균으로 클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법 등을 이용하여 동해 표층의 침적물 세균 군집구조 및 그 다양성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파묻힌 조각 원위치 관찰과 형광 현미계수 기법으로 연구한 결과 : 침적물 샘플 중, 세균의 세포량은 (9.30±3.44)×10 7 cells/g 이었다. 분리 정화하여 총 313주의 세균을 얻었는데 각각 20개 속에 속하였다. 4가지 배양기에 의한 세균 분리효과는 RO gt;M1 gt;Zobell2216 gt;MR2A의 순서였다. 일반 형태학과 생리생화적 평가결과, 아포간균속(Bacillus)과 해구균속(Marinococcus)은 수량과 종류상에서 우세균속으로 되었는데 각각 분리균주 총 수의 21.08%와 17.25%를 차지하였다. 73주의 전형적 해양 세균에 대하여 16SrDNA 분자적 감정을 으뢰한 결과, Firmicutes(57.5%),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gamma-Proteobacteria)(32.9%),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4.1%), 방선균(Actinomycetes)(5.5%) 등이 주요 개체군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난배양 세균의 클론 데이터베이스 배열 분석에서, 세균 클론은 주요하게 Firmicutes과 프로테오박테리아에 속하며 아포간균강과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강은 Firmicutes과 프로테오박테리아의 우점종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순수배양과 난배양 데이터를 종합하여 중국 동해 해역의 표층 침적물의 세균다양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얻었으며 더 한층 개발하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3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East China Sea,bacteria,16S rDNA,community structure,diversity,중국 동해 해역,해양 세균,16SrDNA,군집구조,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