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Macropanax rosthornii seedling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ANG, Wen-bin,NIE, Dong-ling,WU, Si-zheng,BAI, Wen-fu,SHEN, Su-zh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화분에 심은 Macropanax rosthornii를 실험 재료로, 다양한 차광 처리(자연 태양광 조사, 70% 빛세기 조사 및 40% 빛세기 조사)가 Macropanax rosthornii 묘목의 엽록소 함량, 광합성 작용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음지식물의 도입 재배 및 원림에서의 응용을 위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차광 처리를 하였을 때, Macropanax rosthornii은 양호한 생장 상태를 나타냈으며, 잎의 색상은 짙은 녹색을 나타냈다. 식물체의 수관폭과 겹잎 수는 자연 태양광 조사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자연 태양광 조사에 비해, 차광 처리는 Macropanax rosthornii의 겉보기 양자 효율(apparent quantum yield, AQY)과 최대 순 광합성률(maximum net photosynthetic rate, P max )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광포화점(ight saturation point, LSP)과 광보상점(light compensation point, LCP)을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차광 처리는 PSⅡ 초기 빛에너지 전환 효율(light-energy conversion, F v /F m )과 잠재적 활성(potential activity, F 0 /F m )을 향상시켰다. 특히 40% 빛세기 조사 처리를 하였을 때, F v /F m 과 F 0 /F m 은 자연 태양광 조사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P 차광 처리를 하였을 ?, 비광화학적 소멸 계수(non-p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s, NPQ)는 자연 태양광 조사에 비해 뚜렷하게 낮고, 차광 정도의 강화와 더불어 한층 더 감소하였으며, 열소모의 감소 등 경로를 통하여 PSⅡ 빛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광화학적 소멸 계수(hotochemical quenching coefficient, qP)는 차광 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호우성식물(ombrophyte)인 Macropanax rosthornii은 저강도 빛에 대해 비교적 강한 이용 능력을 나타내기에 은폐된 환경에서 생장하기에 적합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0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cropanax rosthornii,shading,growth,chlorophyll content,photosynthesis,Macropanax rosthornii,차광,생장,엽록소 함량,광합성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