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Miao,SHI, Rui,CHEN, Wen-jie,SHI, Sheng-bo,ZHANG, Huai-gang |
초록 |
엽록소 형광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고원 봄밀['후주훙(Huzhuhong)', '후마이(Humai) 12', '후마이 13']을 재료로 하여, 수잉기(booting stage) 지엽(flag leaf)의 PSⅡ 광화학 효율 및 광화학과 비광화학적 담금질의 관 반응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3개 봄밀 품종 지엽의 광?성 색소는 차이가 있었으며, 최대 광화학 효율(F v /F m )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2) 빛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3개 품종 지엽의 유효 광화학 효율(F v ′/F m ′), 실제 광화학 효율(Φ PSⅡ ), 광화학적 담금질계수(q P ), PSⅡ 반응 센터 개방 비율(q L )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약한 빛세기 범위내에서 엽편의 F v ′/F m ′, Φ PSⅡ , q P , q L 값은 '후마이 12' gt;'후주훙' gt;'후마이 13'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중간 정도의 높은 빛세기 범위내에서 3개 품종의 F v ′/F m ′는 일치하였으며, '후주훙'의 Φ PSⅡ , q P , q L 은 기타 2개 품종보다 다소 높았다. (3) 빛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각 품종의 비광화학적 담금질 계수(NPQ), 겉보기 전자전달속도(ETR), 조절성 에너지 소실 양자 수율(Φ NPQ ), 비조절성 에너지 소실 양자 수율(Φ NO )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간 정도의 낮은 빛세기 범위내에서 NPQ, Φ NPQ 값은 '후마이 13' gt;'후주훙' gt;'후마이 12'의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후주훙'과 '후마이 12'의 ETR 변화는 비교적 일치하였고, '후마이 13'이 가장 낮았다. 중간 정도의 높은 빛세기 범위내에서 NPQ, Φ NPQ 값은 '후주훙' gt;'후마이 13' gt;'후마이 12'의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ETR값은 '후주훙' gt;'후마이 12' gt;'후마이 13'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전반적인 빛세기 변화 과정에서 Φ NO 는 '후마이 13' gt;'후마이 12' gt;'후주훙'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3개 고원 봄밀 품종 중 '후주훙'은 높은 빛세기 환경에 가장 적응하였다. '후마이 12' 빛 에너지 이용 능력은 '후마이 13'보다 강하였으나 '후주훙'보다 약하였다. '후마이 13'은 빛세기 변화에 대해 비교적 예민하였으며, 열방산 능력은 '후마이 12'보다 강하였고, 약한 빛세기 환경에서 비교적 높은 열방산 능력을 갖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