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bacterial mechanisms of endophytic fungi from Gynostemma pentaphyllum on Escherichia coli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生物學通報 = Microbiology |
ISSN | 0253-2654, |
ISBN |
저자(한글) | ZHANG, Hui-ru,MENG, Su-xiang,CAO, Jian,FAN, Wen-hui,WANG, Yu-fei,LI, Qia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적] 약용 식물(medicinal plant) 내생 진균(Endophytic fungi)은 신형 항생제(antibiotics)의 미생물 자원이고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내생 진균 JY25의 항균 메커니즘(Antibacterial mechanism)을 연구하는 것은 내생 진균의 연구 개발에 대해 중요한 의의가 있다. [방법] 이중 희석법(double dilution method)으로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최소 억제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를 측정하고 MIC으로 대장간균(Escherichia coli) 생장에 대한 발효액의 억제 작용을 측정하였으며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발효액 작용에서의 대장간균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sidase), 알칼리성 인산효소(alkaline phosphatase)와 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을 통하여 발효액이 세포막과 세포벽에 대한 손상 효과를 측정하고 쿠마시 브릴리언트 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 방법을 사용하여 발효액이 단백질 합성에 대한 영향을 검측하였다. [결과] JY25 발효액이 대장간균에 대한 MIC은 7g/L이고 MBC는 14g/L이며 MIC 농도의 발효액은 세균의 대수 생장 기간을 12h 연장하고 세균 형태는 엄중한 기형과 파손이 발생하였다. 항균 작용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β-갈락토시다아제 함량은 증가하고 전도율이 증가하는 동시에 실험을 통하여 대장간균 단백질 합성 이상을 발견하고 알칼리성 인산효소는 검측하지 못하였다. [결론] 돌외 내생 진균 JY25는 주요하게 세균의 세포막 파괴 및 세균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5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Gynostemma pentaphyllum,Endophytic fungi,Antibacterial mechanism,Escherichia coli,돌외,내생 진균,항균 메커니즘,대장간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