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ISSN 1225-011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임나리,김해수,하지훈,노근영,박수남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로부터 3가지 dicaffeoylquinic acid (DCQ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고, 항산화 활성,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떡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 $^1H$ -NMR 및 MS 분석을 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은 총 3가지 DCQA 유도체 : 3,5-dicaffoylquinic acid (3,5-DCQA, 1), 4,5-dicaffeoylquinic acid (4,5-DCQA, 2), 1,5-dicaffoylquinic acid (1,5-DCQA, 3)로 나타났다. 분리된 compound 1-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 $FSC_{50}$ )은 각각 3.70, 5.80 및 $5.50{ mu}M$ 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 ${ alpha}$ -tocopherol ( $FSC_{50}=21.90{ mu}M$ )과 비교하여 더 큰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1O_2$ 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 ${ alpha}$ -tocopherol과 유사한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tyrosinase 저해활성( $IC_{50}$ )은 각각 0.15, 0.16, 및 0.13 mM로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arbutin ( $IC_{50}=0.33mM$ )과 비교하여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세 가지 DCQA가 식품 또는 화장품 산업에서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52493753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naphalium affine,dicaffeoylquinic acid,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cellular protective effect,tyrosin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