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융합이 시대적 흐름인 동시에 가장 관심을 받는 핵심 키워드로 등장한 상황에 맞추어 연구 대상지인 서울 세검정지역이 지니고 있는 환경적 특성을 활용하고 동시에 타학문의 과학적 기법을 세검정 공공디자인과 융합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세검정은 서울에서도 산악환경이 가장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지리적 맥락의 중심에 위치한 지역특성으로 말미암아 기압의 차이와 변화가 현저함으로 인해 바람의 변화가 유난히 심하게 일어나는 지역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공공의 공간에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공공시설물을 배치하고 디자인하는 방식과는 달리 대기과학 분야의 분석 툴인 RAMS를 활용하여 바람의 변화와 경로를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의 특성을 유형화 하고 이를 통해 공공이 거닐 수 있는 산책길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안해 보았다. 이 지역에 나타나는 바람의 특성에 의하여 하나하나의 길이 독특한 바람의 특성을 반영하는 공간이 됨으로써 디자인영역에서 일컫는 프로그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프로그램 디벨롭을 위한 후 작업으로는 설정된 산책길 주변의 환경특성을 상세하게 조사하여 바람을 응용한 사운드, View, 빛 등 다양한 가능성을 디자인해 봄으로써 대기과학기법을 응용한 공공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연구목적, 핵심 과정 그리고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1. 타 학문의 기법 적용과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2. 세검정지역의 환경 분석과 바람요소의 중요성 인식3. 바람요소의 디자인화를 위한 대기과학과 RAMS 4. RAMS 적용을 통한 세검정지역의 바람특성 연구5. RAMS 분석결과물과 공공 공간 설정방법6. 연구결과물로서 RAMS 분석을 통한 지역의 바람특성에 관한 기술적 자료 제시7. 바람 특성을 구체적 사이트에 적용한 결과물로서새로운 산책길의 설정논리와 결과물8. 새로운 산책길의 개별 디자인 디벨롭과 기대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