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오옥신 수용체(auxin receptor) 및 그에 따른 신호경로가 오이(Cucumis sativusL.) 중 조절 메커니즘과 생물학적 기능을 이해하며, 오이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경로를 찾고 또한 농업생산을 지도하기 위해 애기장대(Aabidopsis) 오옥신 수용체(auxin receptor) 그룹의 AtTIR1/AFBs 유전자 서열을 참고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오이 유전체 데이터 베이스에서 2가닥의 상동성(homologous)이 매우 높은 유전자 서열을 선별한 후 CsTIR와 CsAFB로 명명하였다. 2개 유전자의 cDNA 서열을 클론한 후 서열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과발현 벡터를 구축하여 오이 중에서 역유전학적 연구(reverse genetic research)를 진행하였다. 유전자 서열을 유전자 은행(GenBank)에 등록하였는데 CsTIR 등록번호는 KC414935.1이고, CsAFB 등록번호는 KC414934.1이다. 생물정보학적 방법(bioinformatics analysis)을 이용하여 CsTIR와 CsAFB 단백질의 근본적 물리화학적 성질(basic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기능단백질 영역(functional protein domains)을 예측하고, 또한 CsTIR와 CsAFB 단백질의 종간 보존성(conservation)에 대하여 계통발생학적 분석(Phylogenetic analysis)을 진행한 결과, CsTIR와 CsAFB 단백질이 오이의 오옥신 수용체인 것으로 예측하였다. semi-qRT-PCR법을 이용하여 CsTIR와 CsAFB 유전자의 공간 발현패턴(expression patterns)을 분석한 결과, 10일째 되는 오이 유묘 중 CsAFB 유전자는 뿌리와 잎사귀에서 발현량이 줄기보다 높았고, CsTIR 유전자는 줄기에서 발현되지 않았다. 70일째 되는 오이의 각 조직에서 CsTIR와 CsAFB는 모두 발현되었으며, 또한 뚜렷한 조직 특이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오이 오옥신 수용체의 탐색을 위한 실험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또한 오옥신 신호경로가 오이 중 기능 및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