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HANG, Wen-Cong,ZHAO, Bo-Song,CHEN, Liang,SUN, Yan,ZHANG, Ling-Ling,HU, Xiao-Li,BAO, Zhen-Min |
초록 |
전기자극으로 난자의 자성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해양생물에서의 연구는 아직 발표된 바가 없다. 비단가리비의 자성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전기자극의 최적조건을 얻어내기 위해 정교 설계법으로 전기장 강도, 전기 용량, 펄스 반복 수, 난자 밀도 및 완충액이 유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로 다른 완충액의 유발 효과는 거의 비슷하였으나(P gt;0.05), 찌메르만 완충액과 소르비톨 완충액에 비해 마니톨(mannitol) 완충액의 유발 효과가 더 좋았다. 최적 난자 밀도는 11.25×104개/mL이며, 최적 전기장 강도 범위는 1.00~1.75kV/cm이다. 최적 전기자극 조건은 다음과 같다. 마니톨 완충액 0.30mol/L, 난자 밀도 11.25×104개/mL, 펄스 강도1.20kV/cm, 전기 용량 3 mu;F, 그리고 2차례 펄스를 반복한다. (2) 최적화한 전기자극 계수로 자성 발생을 유발하여 최고의 유발 효과를 얻었다. 난할율(cleavage rate)은 28.16%이며 배아 생존율은 98.37%이다. 본 연구는 최초로 전기 자극을 응용하여 비단가리비의 자성 발생을 유발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단수 배아를 획득 하였고 비단가리비의 해당 유발법 계수 체계를 초보적으로 구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