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E, Hua,Ren, Peng,LIU, Yang,LIU, Xian-De,WANG, Zhi-Yo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FIASCO 방법을 이용하여 부세(Larimichthys crocea)의 미세위성(Microsatellite) enriched library를 구축한 후, enriched library에서 90개의 흰색 클론을 선별하였다. 균액 PCR선별을 거쳐, 양성 클론 60개를 얻은 후 서열을 측정하였는데, 그중 56개 클론(93.3%)은 CA/GT 반복수가 5보다 큰 미세위성 서열을 포함하고 있었다. 56개의 미세위성 서열에는, 디뉴클레오티드 미세위성이 51개(91.1%) 들어 있고, 트리뉴클레오티드 미세위성 5개가 들어 있었다. 디뉴클레오티드 반복에서 48개는 (AC) n 반복이며, 디뉴클레오티드 총수의 94.1%를 차지하였다. Weber에 기반한 미세위성 분류 법칙으로부터, 완벽형은 75.0%, 비완벽형은 8.9%, 복합형 미세위성은 16.1%를 차지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총 52쌍의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는데, 35쌍의 프라이머 위치는 다형성을 나타냈다. 28개(80.0%) 위치의 후대 유전자형은 1:1:1:1(AB×CD/AB×AC) 분리유형, 6개 위치는 1:1 분리유형, 1개 위치는 1:2:1(AB×AB) 분리유형에 속하였다. 35개 위치에서 32개 위치의 분리는 멘델 분리비((P gt;0.05)에 부합되었으며, 그 외의 3개 위치(LYC0137、LYC0139、LYC0152)는 1:1 혹은 1:1:1:1의 멘델 분리비에 부합되지 않았다(P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세위성 마커는 부세 미세위성 유전자의 연쇄지도 구축 및 개체군 유전학, 분자 진화 및 계통 발육 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