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Genomic Microsatellite Marker for Phytophthora Infestan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
ISSN | 1674-7968, |
ISBN |
저자(한글) | ZHANG, Hong-lei,YANG, Zhi-hui,HU, Zhen-zhu,ZHU, Jie-hua,ZHANG, Ao-chu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감자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은 감자 생산에 가장 큰 위협을 주는 진균성 병균이다. 감자 역병균 게놈에 미세부수체 마커(microsatellite marker)를 설계하는 방법은 감자 역병균의 유전 구조를 연구하는데 시스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SciRoKo 및 Clustal 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감자 역병균 게놈에 표지가 용이한 길이가 25 bp보다 크거나 같은 미세부수체 마커의 설계 부위 그리고 두 끝단 서열을 선별하였다. 그 다음 설계 부위 두 끝단 서열에 특이성 PCR 증폭 프라이머를 설계하였고 9개 감자 역병균 균주를 선별하여 프라이머 특이성 그리고 미세부수체 다형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연도별 및 지역별 40개 감자 역병균 균주에 적합한 미세부수체 마커 대립유전자(Alleles) 수량을 확정하고 다형성을 평가한 다음, 일부분 마커를 선별하여 40개 감자 역병균 군체의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다형성 미세부수체 마커를 모두 33개 얻었다. 이는 전체 설계 수량의 28.7 %를 차지하는 수량으로서 다형성 정보량 값은 0.164~0.614 사이에 있었고 이 중에서 PIC ge; 0.5인 마커가 7개 이었고 0.25 lt;PIC lt;0.5인 마커가 25개 이었으며 PIC le; 0.25인 마커는 하나뿐이었다. 감자 역병균 미세부수체 유전자형은 교잡형 및 지역성과 일정 정도 관련성이 있었고 메탈락실(metalaxyl) 감수성과는 관련이 없었다. 일련의 다형성 미세부수체 마커를 설계한 본 연구는 감자 역병균 군체 유전학 연구에 다형성이 높고 안정성이 강화된 분자 마커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47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Phytophthora infestans,Genome,SSR marker,감자 역병균,게놈,SSR 마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