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Analysis of a Putative Phenylacetone Monooxygenase Gene (MoPAMO1) in Magnaporthe oryza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農業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
ISSN | 1674-7968, |
ISBN |
저자(한글) | WU, Li-Min,BIAN, Wen-Yin,HU, Fang-Hui,LIAN, Yong-Le,WANG, Zong-Hua,LU, Guo-D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Magnaporthe oryzae의 정착과정에서 발병관련 유전자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Magnaporthe oryzae의 발병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과 분자유전학(molecular genetics) 방법으로 Magnaporthe oryzae의putative phenylacetone monooxygenase 유전자(MoPAMO1) 기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MoPAMO1는 하나의 putative phenylacetone monooxygenase를 코팅하며, 계통발생분석법(phylogenetic analysis)은 MoPAMO1이 곰팡이류(filamentous fungi)의 Verticillium dahliae과 대응되는 단백질과 관련성이 제일 밀접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MoPAMO1 유전자는 병균이 침입하는 과정에서 유도발현되어 결실돌연변이주(deletion mutant)의 포자 생산량이 감소된다. 그러나 생장속도와 발병성은 야생균주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가 없다(P lt;0.01). 이는 MoPAMO1 유전자가 Magnaporthe oryzae의 포자형성 과정에 참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Magnaporthe oryzae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5개의 기능이 중복(functional redundancy)되는 putative phenylacetone monooxygenase 유전자가 존재하는데, 이 유전자가 유발된 원인 및 병균의 생장과 발병성의 관계는 아직도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MoPAMO1의 생물학적 기능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41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Magnaporthe oryzae,MoPAMO1,Functional analysis,Conidiation,Magnaporthe oryzae,MoPAMO1,기능분석,포자형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