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17세기 한국의 정치개혁론에 관한 비교 연구 - 송시열(宋時烈)과 박세당(朴世堂)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동양정치사상사
ISSN 1598-595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김만규,김정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3-01-01
초록 nbsp; nbsp;이 논문은 송시열과 박세당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17세기 한국 정치개혁론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송시열과 박세당의 현실인식과 우주론 및 인성론을 중심으로 한 정치개혁론의 사상적 바탕, 그리고 현실개혁의 구체적 실천방법론을 비교하였다. 송시열과 박세당은 17세기 당시를 위기로 인식하고 개혁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어서는 동일하였다. 그러 나 위기의 근본원인과 개혁론의 이론적 토대 및 정책론의 내용과 성격은 매우 대조적이었다. 송시열은 현실위기의 원인을 주자학적 정치이념의 쇠퇴로 보고 정통 주자학에 기초한 체제보강의 우주론과 인성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차별체제의 유지 강화를 전제로 한 제한적 제도개혁과 유학적 명분론에 기초한 숭명배청(崇明排淸)의 대외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와는 달리 박세당은 유학적 차별질서 자체를 위기의 원인으로 보고 노장사상에 바탕을 둔 상대적 변천관의 우주론과 개혁실천의 인성론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반상질서(班常秩序)의 근본적 변화를 전제로 한 양민보국(養民保國)의 정책론을 전개하였다. 이 논문은 두 사람의 정치개혁론에서 보이는 이와 같은 상반적 성격이 이후 조선조의 보수와 혁신사상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과 대내적 차별관과 평등관, 그리고 대외적 명분론과 실리론이 갈등을 빚고 있는 오늘의 우리에게도 진정한 의미의 개혁이란 무엇이 되어야 하는 지에 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52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송시열,박세당,정치개혁론,비교사상,17세기 정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