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은 MODIS 위성 원격탐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중국 스양허 유역(Shiyang River basin of Northwest China)의 2000~2010년 식생 NPP(일차 순 생산성, net primary productivity)의 시공간 분포 및 변이 특성을 연구하였고, 그 특성이 기후 변화와 인위적 영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또한 인위적 영향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스양허 유역의 NPP 총량은 처음에 증가하고 후에 감소하고, 2002년에 최고값에 달하고, 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소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주기적으로 증가하고 감소하는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체적으로 NPP의 변화는 강우량과 뚜렷한 정(positive)상관 관계이지만 기온과는 상관성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분 지역의 NPP와 강우량은 뚜렷한 상관성이 있고, 어떤 지역의 NPP와 기온의 상관성도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년 강우량과 상관된 분계선(division line)은 380 mm와 170mm 인데, gt;380mm인 지역은 기온이 주요인자(dominant factor)이고, 170~380m 사이의 지역은 강우량이 주요인자이고, 분석 결과, 2000~2010년 인위적 작용으로 스양허 유역의 식생 NPP값의 년별 증가량은 2353.86gC/m 2 ·a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 유역의 생태환경복원 프로젝트(eco-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가 실시된 후 식생피복 현황이 일정하게 개선되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식생 유형으로 부터 초지에 미치는 인위적인 영향은 플러스(positively)와 마이너스(negatively) 작용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밭에 미치는 인위적인 영향도 매우 뚜렷하였는데 경작 방법의 개선과 관리대책의 향상은 NPP가 증가되게 하였으며, 오아시스 주변(oasis edges)의 고비(Gobi) 식생, 알칼리성 토양(saline and alkaline land) 식생, 사막지역(sand land) 식생, 임지 등에 대하여 미치는 인위적인 영향은 일반적으로 플러스(positively)이고, 식생피복 면적과 품질은 조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