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Guo-dong,ZHANG, Jun-hua,WANG, Nai-ang,PENG, Jian-feng,CHENG, Hong-yi |
초록 |
신속한 도시화는 도시의 기후 요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도시 온도장, 습도장의 분포 패턴과 구조 특성은 또 도시 생태계의 물질 순환, 에너지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일련의 생태환경 효과를 산생한다. 도시 기후에 대한 이동형 관측법(mobile observation), 정점 관측법(fixed-point observation)과 GIS 공간 분석법과 원격탐사 역산법 등을 이용하여, 전형적인 하곡형 도시(valley-city)-란저우시(Lanzhou city)의 봄철 온도장과 습도장의 특성 및 변화 법칙을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4:30과 20:30의 온도장 분포 패턴은 유사하였으며, 온도장 강도가 높은 지역은 주로 기차역, 제2화력발전소(the second thermal power station), 우리푸 사거리(Wulipu cross)와 판쉬안로(Panxuan road)로 둘러싼 지역에 분포하였다. 8:30에 온도장의 열 중심은 시관 사거리(Xiguan cross)와 승리 호텔(victory hotel) 사이의 개발 정도가 비교적 높은 상업지역 부근에 위치하였다. 8:30과 20:30의 습도장 분포 패턴은 유사하였으며, 습도장 강도가 비교적 높은 지역은 주로 도시 북부의 쉬자산 삼림공원(Xujia mountain forest park), 옌찬촌(Yantan village), 가오탄촌(Gaotan village) 등 개발 정도가 비교적 낮은 녹지에 분포하였고, 습도가 높은 지역의 분포는 식생 피복도가 높은 지역과 거의 일치하였다. 경관 생태학 이론을 이용하고, 열 유동장의 공간 분포와 NDVI 분포를 결합하여 열 경관의 공간 패턴을 분석하고 열 경관을 분류하였다. 도시 다양한 열 경관 패턴의 형성은 에너지 소모, 인구, 건축, 기저면(underlying surface) 유형과 뚜렷한 인과관계가 존재하였으며, NDVI gt;0.5인 지역은 습도장 강도가 높은 지역, 열 유동장 강도가 낮은 지역과 대응되었다. 도시와 교외 기상 기지에서 얻은 기상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50년 동안 도시지역의 열섬 효과(heat island effect)와 건섬 효과(dry island effect)의 변화 법칙을 분석하였다. 최근 50년 동안 도시지역의 열섬 효과와 건섬 효과는 뚜렷한 증가 추세를 나타냈는데, 열섬 효과의 선형 추세는 0.31℃/10a에 달하였고, 건섬 효과의 선형 추세는 -2.1%/10a에 달하였으며, 20세기 70년대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도시 열섬 효과와 건섬 효과는 인류 활동이 도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척도로서 각 기간의 도시화 발전 수준, 도시 건설 규모, 도시 기저면 성질의 변화 등 요소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