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nbsp; nbsp;군산분지(남황해북부분지) 내에 5개 시추공에서 기존 생층서 연구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시추공 간의 층서적 대비를 시도하였다. 최상부 지층은 Graminidites-Persicarioipollis Assemblage Zone과 Gramineae-Cyperaceae-Persicaia Assemblage Zone에 해당되며 퇴적시기는 신생대 말, 플라이오세이다. Haema-1, IIH-1Xa, IIC-1X, Inga-1 등의 시추공에서는 약 100 m 이상의 층준으로 발달한다. 그러나 Kachi-1에서는 삭박 또는 무퇴적되어 플라이오세 지층은 결층이다. 플라이오세 부정합 하부의 마이오세 전기~중기 퇴적층은 Fupingopollenites-Magnastriatites Assemblage Zone과 Ceratopteris-Trapa, Liquidambar-Carya Assemblage Zone에 해당된다. 이 지층은 시추공에 따라 마이오세 전기~중기 지층이 모두 존재하든지 (Haema-1, IIH-1Xa, IIC-1X), 마이오세 전기 (Inga-1) 또는 마이오세 중기 (Kachi-1) 지층만 존재한다. 마이오세 부정합 하부의 에오세 중기 지층은 Coryluspollenites-Betulaepollenites Assemblage Zone, 에오세 전기 지층은 Caryapollenites-Platycaryapollenites Assemblage Zone에 각각 해당한다. 전체 증준에서 에오세 지층이 가장 두껍게 쌓인 것이 특징적이다. 이 에오세 지층 역시 Kachi-1만을 제외하고는 4개의 시추공에서 서로의 심도를 달리하면서 발달하였다. 이 지층이 군산분지(남황해북부분지)에서 아주 두껍고 넓게 퇴적된 것은 에오세 전기~중기 동안에 최대 침강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팔레오세 지층은 분지의 중앙지역 또는 중앙근접지역에 위치한 IIH-1Xa, IIC-1X, Haema-1 시추공에서만 존재하고 분지 양쪽 주변부에 위치하는 Kachi-1, Inga-1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지층은 Momipites-Caryapollenites Assemblage Zone에 해당된다. 이처럼 분지 중앙에만 퇴적층이 존재하는 것은 팔레오세 동안 반지구적(separate half-graben) 구조운동이 진행되면서 이 지역에 퇴적물이 충진 되었기 때문이다. 백악기 후기 퇴적층이 Kachi-1, IIH-1Xa에서는 두껍게 존재하고 Haema-1, IIC-1X에서는 최하부 구간에서만 얇게 존재한다. 이 지층은 Aquillapollenites-Penetetrapites Assemblage Zone에 해당된다. 백악기 전기~쥐라기 퇴적층은 Kachi-1에서만 발견된다. 백악기 전기 구간에서는 특징적인 시대 지시종(Classopollis classoides)만 집중적으로 산출되며, Classopollis-Densosporites Assemblage Zone에 해당된다. 백악기 전기~쥐라기 지층은 미화석산출이 극빈하여 지질시대의 판단은 어려우나, 백악기 전기의 상부 층준과 최하부 돌로마이트 층준에서 삼첩기 후기의 지시종인 Chordasporis sp., Riccilisporites sp., Aratrisporites sp. 등의 산출로 시대를 설정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