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UN, Dong-huai,WANG, Xin,LI, Bao-feng,CHEN, Fa-hu,WANG, Fei,LI, Zai-jun,LIANG, Bai-qing,MA, Zhi-wei |
초록 |
테티스해(Tethys sea) 진화 및 소멸의 과정은 신생대 지질학에 있어 중대한 전지구적 사건으로서 유라시아 대륙 특히, 아시아 내륙지역의 건조 환경의 형성 및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제 테티스 진화 프로그램을 간략하게 소개하였고 연구에서 얻은 성과와 결합하여 테티스해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를 거쳐 테티스해의 진화과정을 테티스해, 파라테티스해(Paratethys sea), 테티스 소멸 3개 단계로 나누었다. 중생대 말기로부터 신생대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유럽, 서부 아시아 대부분 지역, 아시아 중부 지역, 칭장고원(Tibetan Plateau) 남부 지역을 뒤덮은 테티스해(내륙해)가 형성되었는데 동쪽으로는 새로운 테티스 대양과 연결되었고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연결되었다. 대략 34Ma 전, 테티스해와 대서양, 인도양, 극지 해양은 서로 연결되어 있었고 동부는 중국 타리무(Tarim) 지역에 이르렀다.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테티스해는 중국 타리무 및 칭장고원 남부로부터 후퇴하였다. 약 34~32Ma 시기 하나의 테티스해는 남부 고지중해와 북부 중앙아시아 지역의 파라테티스해 2 부분으로 나뉘었다. 그 후, 파라테티스해는 전지구적 해수면의 상승, 구조의 융기, 지표면 침식 및 퇴적 효과 등 1차적 작용의 지배 아래 단계적 축소의 과정을 겪었다. 파라테티스해 축소의 과정은 여러 차례 해수면 상승 및 하강, 해수면 면적의 변화, 해수 통로 폐쇄-개방의 과정이었다. 이 가운데 환경에 미친 영향이 가장 큰 사건은 파라테티스해, 고지중해, 인도양 3개 바다를 이어주는 해수 통로의 폐쇄와 개방이었다. 올리고세 이후 적어도 4 차례에 걸쳐 폐쇄-개방을 반복하였다. 아시아 내륙지역이 언제부터 건조해지기 시작했고 어째서 건조화가 가속되었는지는 테티스해의 진화 및 소멸의 역사와 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지금으로부터 34Ma 전 테지스해가 타리무 지역으로부터의 후퇴한 사건, 약 20Ma 시기 파라테티스해의 면적이 축소된 사건, 7~8Ma 시기 테티스해와 기타 대양 사이의 해수 통로가 마지막으로 폐쇄된 사건 및 이로 인해 해수면 면적이 급속히 축소된 사건으로부터 단서를 찾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