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진주담치 근육에서 Triton X-100를 사용하여 carotenoprotein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arotenoprotein( ${ lambda}_{max}=462nm$ )를 $20 %$ (w/v) $(NH_4)_2SO_4$ , DEAE-cellulose 이온교환수지 그리고 Sephacryl S-300 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한 결과, 정제도는 5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1.85 %$ 였으며, carotenoprotein의 분자량은 약 372KDa(gel filtration)이었고, SDS-PAG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의 subunit를 확인한 결과, 60KDa( $23.70 %$ ), 46.9KDa( $9.14 %$ ), 26KDa( $49.14 %$ ) 및 13KDa( $18.02 %$ )로 이루어져 있었다. Carotenoprotein의 안정성은 pH 4.0 이하의 강산 및 pH 10.0 이상의 강알칼리에서는 단백질이 불안정하였고, SDS 변성제를 $0.2 %$ (w/v)되게 첨가하여 녹인 후 가시부 영역( $400{ sim}600nm$ )에서 최대파장 변화를 보면 462nm에서 456nm로 약 6nm 단파장 영역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arotenoprotein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threonine이 $35.90 %$ 로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과 소수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전체아미노산 함량의 각각 $62.76 %$ 와 $25.02 %$ 를 차지하였고, methionine, histidine 및 proline은 존재하지 않았다. Carotenoprotein 1g당 총지질의 함량은 256mg였고, 그 구성지방산의 조성은 polyene산이 $62.4 %$ 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포화산( $19.58 %$ )및 monoene산( $18 %$ ) 순이었다. 특히, 16:4n-3의 조성비가 $33.90 %$ 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 %$ 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 $C_{16:0}$ ),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 $C_{16:1}$ ),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 $C_{16:4}$ ), eicosapentaenoic acid ( $C_{20:5}$ ), docosahexaenoic acid( $C_{22:6}$ )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 %$ 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 $74.79 %$ ), 3,4,3'-trihydroxy-7',8'-didehydro- ${ beta}$ -carotene( $18.26 %$ )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