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우주론宇宙論 일월광日月光의 상징 분석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국학연구 |
ISSN | 1598-8082,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1-01-01 |
초록 | nbsp; nbsp;한국 전통가사의 특징은 일월광문日月光紋과 천왕문첩天王紋貼에 있다. nbsp; nbsp;그러나 이 중 천왕문첩이 첩貼(혹 帖)이라는 인도불교에서부터 존재하던 가치의 한국적 변형이라면, 일월광문와 같은 경우는 완전히 독창적이 라고 할 수 있어 주목된다. nbsp; nbsp;전통가사의 일월광문은 단독으로 일월만을 묘사하고 있는 것과, 일월 이 불교의 수미산須彌山 우주론 속에서 나타나는 방식의 두 가지로 구분 된다. 본고는 이 중 불교 우주론 일월광에서 나타나는 상징들에 대한 의미를 모색해 본 것이다. nbsp; nbsp;제2장에서는 불교 우주론 일월광이 교리적인 불교의 수미산 우주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관한 동同 #x2022;이異관계를 중점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서 불교 우주론 일월광은, 입체적인 만다라 구조를 현시하고 있다는 점에 관해 파악해 볼 수 있다. nbsp; nbsp;제3장을 통해서는 불교 우주론 일월광 안에서 일상日像에 관해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태양을 까마귀로 보는 고대 중국의 신화전설과 이의 파생관점에서 초래되는 삼족오三足烏와 이족오二足烏의 관계를 보다 분명히 하였다. 또한 이와 더불어 후대의 관점인 김오金烏와 까마귀의 동정動靜 의 문제에 관해서도 파악해 보았다. nbsp; nbsp;제4장을 통해서는 불교 우주론 일월광 중 월상月像에 관해 고찰하였다. nbsp; nbsp;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두꺼비와 토끼의 이중적인 월상의 인식이다. 이를 본고에서는 중국의 전통적인 신화전설에 입각한 두꺼비와, 불교전승과 관련된 토끼로 구분하여 양자의 유행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nbsp; nbsp;일월광문은 만다라를 현시하여 법계法界를 청정히 함으로써, 가사를 수垂한 주체(승려)와 의식儀式을 통한 대상(신도)이 공히 이상경계를 빨리 확보할 수 있게 하자는 열망을 내포하는 것이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일월 광문을 부착한 한국불교의 발상은 매우 탁월한 것이라고 하겠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534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가사袈裟(ka #x1E63,#x0101,ya),일월광문日月光紋,일광日光,월광月光,불교 우주론宇宙論 일월광日月光,까마귀,옥토끼,수미산須彌山(Sumeru mountain),만다라曼茶羅(ma #x1E47,#x1E0D,ala),삼족오三足烏,ka #x1E63,#x0101,ya,solar/lunar beam pattern,solar beam,lunar beam,so-lar/lunar beam of Buddhist cosmology,crow,jade rabbit,Sumeru mountain,ma #x1E47,#x1E0D,ala,3-leg cr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