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주자학의 인물성동이론의 종교적 의미 탐구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儒敎 思想 硏究 |
ISSN | 1226-7082,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1-01-01 |
초록 | 외암 이간과 남당 한원진 사이에서 일어난 인물성동이론은 유교의 텍스트『중용』과 맹자 의 주자의 주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처음 일어났는데, 그 주제는 인간과 만물(주로 동물)의 본성이 같으냐 다르냐 하는 것이었다. 원래 성리학의 세계관은 유기체 우주론 위에 서 있으므로 인간과 만물이 동등한 우주의 일원이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면서 성리학은 유교의 도덕론을 계승하고 있으므로 인간의 만물의 영장으로서의 위치를 강조한다. 이 두 명제는 철학적 논리(아리스토텔레스식 배중률 모순율)로 보면 모순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적 명제의 목적은 도덕적 실천을 권유하는데 있지 이론의 정합성 자체를 목표로 하지는 않았다. 위대한 인격(성인)이 된다는 도덕적 실천에는 우주 만물과 일체가 된다는 우주적 각성이 마치 종교 신념 처럼 내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논쟁의 분석은 철학적 논리의 적합성이나 윤리적 타당성만이 아니라 종교적 발언으로서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서 동양 종교에 흔히 발견되는 역설의 논리도 물론 발견할 수 있다. 종교적 측면에서 볼때 논쟁의 두 입장은 모두 성립하고, 또 이러한 논쟁은 중세 신학과 같은 성리학에서 불가피한 면이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046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인물성동이론,외암 이간,남당 한원진,유기체 우주론,역설의 논리,In-mul-seong-dong-i-ron (theory that human being and an animal have same or different nature),Oeam,Lee Gan,Namdang,Han Won-jin,organic cosmology,parado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