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退溪 讀書法에 있어서 自我와 宇宙의 관계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民族語文學 = Hanminjok Emunhak
ISSN 1229-07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퇴계의 자아론은 가히 혁신적이다. 우주론을 거론하면서 孔孟의 자아론을 넘어섰고, 활간을 강조하면서 주자의 자아론을 넘어섰다. 그 동력은 '理의 능동성'에서 연유한다. 理의 능동성이 활간을 추동하고 이런 활간이 자아를 추동하면서 자아는 人事를 향해 퍼져나갈 뿐만 아니라 天理를 향해 뻗어나가게 된다. nbsp; nbsp;자아와 우주의 관련 양상으로는 자아의 우주화와 우주의 자아화를 들 수 있다. 전자는 자아가 心與理一의 경지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후자는 心與理一의 경지를 仁이라고 규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과정은 仁의 구현이라는 공동 목표를 지향하면서 發用 範圍를 누적적이고도 점진적으로 확장시켜 나간다. 발용 범위를 넓히도록 추동하는 원인은 우주의 生意이다. nbsp; nbsp;자아와 우주가 독서법에서 지니는 의의는 두 가지이다. 독서인에게 우주론적 위상을 부여한다는 점과 독서인을 廓然大公의 상태에 이르게 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동인은 理가 능동성을 지니되 확장하지 못하는 데서 연유한다. 자아가 理와 우주를 향하면서 독서법을 활간의 패러다임으로 격상시킨다. 자아와 우주의 관계론이 여타 유학자와 변별되는 까닭은 이런 理의 특성 때문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92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理의 능동성,자아의 우주화,우주의 자아화,仁,生意,廓然大公,활간의 패러다임,the activity of Ri(理),universe becomes an ego,ego becomes a universe,Simnyeoriil(心與理一),In(仁),a living purpose of universe,the condition of disinterestedness and equivalence,a paradigm of Vital-se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