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Recombinant soluble expression,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ase from Serratia marcescens H30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加工過程 = Chinese journal of bioprocess engineering
ISSN 1672-367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Jing-jing,SU, Er-zheng,WU, Xiang-ping,MA, Yu-shu,WEI, Dong-zh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Serratia marcescens H30 리파아제의 수용성 발현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 표적 유전자를 각각 pGEX 4T 1, pET28a 및 pET32a에 연결시켜 재조합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대장균 BL21에 형질 주입하였다. 그리고 유도 과정을 최적화한 결과, 수용성 효소의 활성은 최고로 25,000U/L에 도달하였다. 다시 Ni 2+ 친화성 칼럼 및 LH-EP 고정화를 거쳐 확인한 결과, 고정화 효소의 비활성은 214U/g(1g 습중량으로 계산함)이었으며, 효소 활성의 회수율은 51%였다. 고정화한 후 리파아제의 재조합에 가장 적합한 온도 및 pH는 각각 30℃에서 35℃로, 7.0에서 8.0으로 높아졌으며 또한 안정성도 다소 증가되었다. 고정화된 재조합 리파아제는 라세미체 트랜스 4-메톡시페닐글리시드산 메틸 에스터( racemate trans 4- methoxyphenyl glycidic acid methyl ester, (±)-MPGM ) 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지만 광학적 선택성은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그 외, 14h 동안 반응시킨 후, 형질전환율은 48.5%였고 기저물의 e.e. 값은 99.2%였다. 결론적으로, 고정화된 리파아제는 (±)-MPGM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산업용 생물 촉매로 딜티아젬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0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erratia marcescens,lipase,soluble expression,immobilization,characterization,resolution,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리파아제,수용성 발현,고정화,키랄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