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ructure of Telomeric DNA, RNA and DNA-RNA Hybrid Oligonucleotides by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ee, Kwang-Moon,Lee, So-Young,Suh, Suk-Soo,Lee, Bok-Luel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1-01-01
초록 Tetrahymena human의 Telomere 염기배열을 가지는 DNA, RNA 및 DNA-RNA hybrid oligonucleotide를 다섯 종류 화학 합성하여 전기영동의 gel mobility shift 실험, Tm 측정 및 DMS methylation 반응으로 그들의 구조를 구명하였다. 합성한 oligonucleotide(T1~5) 의 염기배열은 다음과 같다. T1 : d $d(T_2G_4)_4$ , T2 : $d(T_2AG_3)_4$ , T3: $h(U_2dG_4)_4$ , T4 : $h(T_2rG_4)_4$ , T5: $r(U_2G_4)_4$ . 이들에 대한 nondenaturing PAGE에서 gel mobility 실험결과 T1과 T2는 size marker DNA 24mer보다 훨씬 빠른 gel mobility를 나타내었고, Tm 측정 및 gel mobility 실험결과 T1은 T2보다 안정한 구조를 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MS methylation 실험결과 5'말단의 dG가 methylation반응에 sensitive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T1 및 T2 oligoneotide는 용액 중에서 Hoogsteen 염기대를 형성하는 Telmere 구조를 취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T1 oligoneotide의 염기배열에서 dT를 rU로 치환한 T3는 T1과 동일구조를 취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dG가 rG로 치환된 T4는 T1과는 다른 gel mobility를 나타내었지만, T5와는 동일한 gel mobility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분자내 수소결합으로 Hairpin 구조를 취하는 Telomere 구조형성에 가장 중요한 염기는 deoxyguanosine임을 알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1347551827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