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ONG, Xujie,CAI, Peng,XU, Yong,YONG, Qiang,YU, Shiyuan |
초록 |
[목적] 전형적인 크실로오스(xylose) 발효 균주 Candida shehatae가 헥소오스(hexose)와 펜토오스(pentose) 발효 중의 전사 프로파일(transcript profile) 및 그 차이를 연구하고, 크실로오스 이용과 에탄올 발효 대사 경로 및 조절과 관련된 핵심 효소와 기능성 단백질 유전자를 선별하는 것이다. [기법] 차세대 고효율 시퀀싱 기술(High-throughput sequencing technology) 454 GS FLX Titanium을 이용하여 각각 Candida shehatae 크실로오스와 포도당으로 발효한 cDNA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De novo 전사 그룹의 발현 서열 태그(expressed sequence tag)에 대하여 대규모적인 시퀀싱과 서열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해당 효모 중 크실로오스 대사와 에탄올 발효에 참여하는 관련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결과] 크실로오스와 포도당 발효 샘플에 대하여 2분의 1 RUN 시퀀싱을 진행하여 각각 60만 개의 서열을 얻었으며, 평균 서열 길이는 400bp였다. 그리고 총 7,250개(크실로오스)와 7,168개(포도당)의 contigs을 얻고, BLAST법으로 크실로오스 샘플과 포도당 샘플 중의 2,421개 유전자(contig)와 2,456개 유전자(contig)에 대하여 기능 주석과 GO 분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개 라이브러리 사이의 서열 비교 분석을 거쳐 총 158개의 유전자가 발현 상태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P lt;0.05). 기존의 당 분해(glycolysis) 및 에탄올 발효 경로를 기반으로 크실로오스와 에탄올 발효와 관련되는 후보 유전자를 선별하고, 그 전사 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 처음으로 대규모적인 전사 프로파일 시퀀싱과 비교 분석을 기반으로 Candida shehatae중 크실로오스 대사와 에탄올 발효에 참여한 유전자 그룹을 선별하였으며, 향후 분자 생물학 및 대사 조절 연구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