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of Saccharification for Distillers Grains and Ethanol Fermentation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
ISSN | 1006-687x, |
ISBN |
저자(한글) | REN, Hai-wei,LI, Jin-ping,ZHANG, Yi,WANG, Yong-gang,CHEN, Xiao-qian,LI, Zhi-zho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양조찌끼(distiller grains)를 당화하는 최적의 공법과 에탄올 발효의 타당성을 토의하기 위하여 환원당(reducing sugar) 농도와 푸르푸랄(furfural) 생산량을 지표로 하여 온도, 고체 액체 비율, 혼산(mixed acid) 농도와 시간 등 네 개 요인이 양조찌끼에 대한 혼산의 당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 직교 실험법으로 당화 조건을 최적화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SEM)과 적외선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 FTIR)으로 양조찌끼를 가수분해하기 전과 후의 구조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최적의 조건에서 얻은 양조찌끼 가수분해액을 발효시켜 에탄올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당화 조건은 온도 100℃, 고체 액체 비율이 1:12, 혼산 농도 2.5%, 가수분해 시간 120min일 때이고 이 조건에서 가수분해액 중의 환원당 농도는 59.32g/L이었고 푸르푸랄 생산량은 8.37g/L이었다. SEM 결과, 가수분해 당화한 후의 양조찌끼 구조에는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목질섬유소 구조가 파괴되면서 그 형태가 거의 변화되었다. 또 FTIR로 양조찌끼 중의 부분적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성분이 분해되었으며 그 가수분해 및 당화 효과는 비교적 뚜렷하였다. 맥주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으로 양조찌끼를 72시간 가수분해한 후, 에탄올의 농도와 생산율은 각각 11.82g/L와 0.14g/g이었고 환원당 이용율은 80.47%이었다. 이는 양조찌끼는 당화한 후 에탄올을 발효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66556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istiller grains,acid hydrolysis,saccharification,reducing sugar,furfural,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infrared spectroscopy (FTIR),ethanol fermentation,양조찌끼,산 가수분해,당화,환원당,푸르푸랄,주사 전자 현미경,적외선 분광법,에탄올 발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