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Dongqing,HUANGFU, Chaohe,LIU, Hongmei,WANG, Nannan,YANG, Dianlin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화분 실험(pot experiment)으로 수분 스트레스 조건에서 AM(arbuscular mycorrhizal)진균이 Flaveria bidentis의 생장과 내한성(drought resistance)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Flaveria bidentis 침입 과정의 미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살진균제(fungicide)로 베노밀(benomyl)을 선택한 후, 토양 내 상대적 수분 함량이 각각 120%, 80%, 40%, 20%인 조건에서 멸균 처리와 멸균 처리를 하지 않은 두 그룹으로 나눴다. 연구 결과, 수분 스트레스는 Flaveria bidentis의 식물 높이, 건중량(dry weight)과 주요 뿌리 길이를 감소시켰으나, AM진균 침입율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베노밀 처리로 인하여 균근 감염율, 잎의 수분 보유 능력(moisture holding capacity), protective 효소 활성, 수용성 당(soluble sugar)과 수용성 단백질(soluble protein) 함량은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MDA(malonaldehyde) 함량은 증가하였다. 멸균 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에서 토양 유효 질소(available nitrogen)와 유효 인(available phosphorus)에 대한 Flaveria bidentis의 이용율은 비교적 높았고, 식물 내 질소와 인 함량은 멸균 처리를 한 그룹에 비해 높았으며, 균근 기여율(contribution rate)은 토양 내 상대적 수분 함량의 감소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심각한 수분 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질소와 인 기여율은 각각 침수 조건에서의 1.84배와 1.88배였다. 토양 내 수분 상태와 AM진균의 상호작용은 Flaveria bidentis 생물량과 생리적 지수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AM진균 공존(symbiosis)은 Flaveria bidentis 뿌리의 토양 수분 흡수와 미네랄 영양 흡수에 대하여 추진작용을 일으켰으며, 식물 대사 활동을 개선시키고 내한성을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는 Flaveria bidentis의 효과적인 방지를 위한 제어 조치를 제정하는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수지상균근에 관한 기초성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