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effect of land cover pattern on hillslope soil and water loss in the arid and semi-arid region:a review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ao, Guangyao,Fu, Bojie,Lv, Yihe,Liu, Yu,Wang, Shuai,Zhou, J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식생 복원 및 녹화 공정은 토양 침식(soil erosion)을 제어하는 중요한 조치이다. 건조 반건조지역(arid and semi-arid region) 식생의 공간적 분포는 분산 특성을 나타낸다. 사면(hillslope)에 형성된 민둥형태의 땅-식생의 교차적 분포, 식생의 띠모양 분포 등 피복 패턴(land cover pattern)은 토양 침식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피복 패턴과 토양 침식의 관계는 경관 생태학 패턴, 생태 과정 연구의 중요한 내용이다. 식생의 반점모양 분포와 사면 피복 패턴이 토양 침식에 미치는 영향, 통합 피복 패턴, 토양 침식 방식 등 3개 측면에서 국내외 관련 연구에 대하여 요약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식생 유형, 계층 구조, 형태 특성은 토양 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피복 유형에 따른 유출(runoff) 특성, 퇴적물 형성 특성, 피복 패턴 등에 관한 정확한 서술은 피복 패턴의 토양 침식 효과를 연구하는 중요한 기초이다. 사면 피복 패턴은 주요하게 퇴적물의 연속성 운반, 연속성 경로를 변화하여, 토양 침식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퇴적물 근원 지역의 연결성과 공간적 분포가 토양침식에서 일으키는 작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정확한 사면 피복 매핑을 기반으로, 토양 침식 과정의 피복 패턴 지수와 통합 패턴 정보를 포함한 유출과 침식 모델 구축하였는데 이는 피복 패턴 연구에 영향주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향후, 아래와 같은 연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동적 시스템 관점에서 피복 패턴의 변화가 토양 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피복 패턴과 토양 침식 간의 상호 연계성 및 피드백 메커니즘을 계통적으로 이해하며, 양자 간 동적 관계의 척도 변화에 따른 규칙성을 토론하고, 규모 확장기법(scaling up)을 발전시켜야 한다. 과정의 의미가 명확하며 간단하고 실용적인 패턴 지수를 구축하고, 피복 패턴과 토양 침식 과정을 연계시켜야 한다. 피복 패턴의 동적 정보와 유출 과정, 퇴적물의 형성 과정을 결합한 수문 모델을 발전시키고, 패턴과 유출, 퇴적물 피드백 시스템을 통합하여, 진정한 의미가 있는 피복 패턴-토양 침식 과정 통합 모델을 구축하여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8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rid and semi-arid region,land cover pattern of hillslope,soil and water loss,pattern metric,integrative model,건조 반건조지대,사면 피복 패턴,토양 침식,패턴 지수,통합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