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f Visual Mismatch Negativity Elicited by Cartoon Facial Expression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醫學工程學雜志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
ISSN | 1001-5515, |
ISBN |
저자(한글) | JI, Shu-mei,LI, Wei,LIU, Peng,BIAN, Zhi-jie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수정한 '교차 양상 지연 반응(cross-modal delayed response)' 실험 패러다임(paradigm)을 이용하여 만화 표정이 VMMN(visual mismatch negativity) 유발 여부와 표정 정보 자동 처리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우선 두가지 단음(Tone burst)과 3가지 만화 표정 그림을 유사 무작위로 배열(Pseudo-random permutation)하였는데 나타난 시분할에 의하면 피사체는 청각적 자극을 받은 후 자극 유형을 신속하게 판단하고 키 준비를 하였으며 반응 명령 신호가 나타난 후 빠르게 키를 눌러 청각 자극과 반응 명령 신호 사이에 0~2개의 만화 표정 그림을 삽입하였다. 그 결과, 시각 편차 자극(유쾌한 표정, 분노하는 표정) 사건 관련 전위(event ndash;related potential, ERP)에서 표준 자극(중성 표정) ERP을 감하여 두가지 VMMN를 확보하였는데 분노 표정이 유발한 VMMN은 유쾌한 표정이 유발한 VMMN에 비해 부정적이었다. 또한 양자 왼쪽 대뇌 반구로 편이하는 추이를 보였는데 이는 만화 표정으로 VMMN을 유발할 수 있으며 표정 정보를 자동 처리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04886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Facial expression,Event-related potential(ERP),Visual mismatch negativity(VMMN),Automatic processing,표정,사건 관련 전위,VMMN,자동 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