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2008년 4월과 9월, 중국 민장 하구(Minjiang estuary)와 싱화만(Xinghua bay) 수역의 어업자원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이 2가지 서로 다른 유형 해역에서 새우류 밀도의 시공간적 분포와 우점종 특성, 지형, 해류와 수문 등 요소가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4월 민장 하구의 새우류 바이오매스(22.05 kg/km 2 )는 싱화만 바이오매스보(23.33 kg/km 2 )다 낮았으며, 개체 밀도(12.34×10 3 마리/km 2 )는 싱화만 개체 밀도(8.42×10 3 마리/km 2 )보다 높았고, 9월도 마찬가지었다. 민장 하구 새우류의 바이오매스(205.54 kg/km 2 )는 같은 시기 싱화만 바이오매스(329.60 kg/km 2 )보다 낮았으나 개체밀도(131.25×10 3 마리/km 2 )는 싱화만 개체밀도(95.79×10 3 마리/km 2 )보다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민장 하구와 싱화만 새우류 자원 종류의 규격특성과 일정한 관계가 있었다. 즉 우점도 분석에 근거하여 싱화만에서 우점종은 광염성 큰 규격의 긴뿔민새우(Parapenaeopsis hardwickii)를 주요로 하였으며, 기타 주요 우점종의 우점도는 뚜렷하지 않았고 총 바이오매스 변화에 대한 기여는 크지 않았다. 반대로, 민장 하구의 우점종은 광염성의 긴뿔민새우를 제외한 외 또 개체수가 큰 기수(brackish water) 작은 규격의 중국 젓새우(Acetes chinensis)가 있는 데 그중 중국 젓새우 개체밀도의 백분비는 새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다양한 염도 환경에서, 서로 다른 염도 환경에 대한 종류의 적응은 민장 하구와 싱화만 우점종의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 주요 원인이다. 민장 하구에서, 남부 어장은 현지의 주요한 어장이며, 9월은 주요한 어획기인데 이는 민장 유출량의 계절변화와 민장 하구의 지형 특성과 관계된다. 싱화만에서, 해만 입구는 새우류의 주요 산란장(spawning bed)과 색이장(떼지어 먹이를 찾는 곳, feeding ground)이며, 해만 외부는 새우류 월동장(wintering grounds)이다. 이는 주요 자원종인 긴뿔민새우가 온수종(warm-water species)인 것과 관계될 뿐만 아니라 싱화만 수괴(water mass) 특성과도 관계된다. 서로 다른 계절을 비교했을 때, 9월에 싱화만과 민장 하구 새우류 자원종은 다양성을 나타냈으며, 싱화만과 민장 하구를 비교했을 때, 민장 하구 새우류 자원종은 더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다. |